본문 바로가기
뜨개 공부/대바늘

대바늘 뜨개 양말 뒤꿈치 뜨는 방법1(커프다운 = 탑다운)

by 얼사 2021. 12. 1.
반응형

커프다운[cuff-down, 탑다운(top-down)이라고도 함]으로 뜰 때 즉, 발가락이 아닌 다리에서 시작하여 떠내려갈 때 적용할 수 있는 힐(heel, 뒤꿈치) 뜨는 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간략 소개

이 방법은 양말의 뒤꿈치를 뜰 때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방법인 라운드 힐(Round Heel)의 변형 버전이라 할 수 있습니다. 힐 플랩(heel flap), 힐 턴(heel turn), 거셋(gussets)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신발과의 마찰로 잘 닳는 부분인 힐 플랩걸러뜨기와 겉뜨기, 안뜨기 등을 조합한 무늬로 떠서 양말의 다른 부분보다 도톰하게 뜨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힐 턴은 경사뜨기기법을 이용하여 뒤꿈치와 발바닥을 이어줍니다. 거셋은 힐을 뜰 때 분리되었던 편물을 다시 연결하는 부분으로 코줍기와 코줄임(=모아뜨기)을 사용합니다. 라운드 힐의 변형 버전이라고 소개하는 이유가 바로 거셋의 위치가 달라서인데요. 일반적으로 거싯 코줄임은 발목 복숭아뼈 근처에서 양쪽으로 시작하는데, 이 버전은 바닥에 있습니다.
걸러뜨기를 하는 방향과 같은 작은 부분은 개인의 선호에 따라 달리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도안에 따라 힐 플랩 시작이 안면이 될 수도, 겉면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임의로 콧수를 정해 도안형식으로 써 내려 가보겠습니다.


힐 플랩(heel flap) - 뒤꿈치

원통뜨기로 레그(leg, 다리)를 뜬 후, 전체 콧수의 반으로 뒤꿈치를 뜹니다. 편물을 겉면과 안면으로 돌려가며 평뜨기로 뜹니다. 뒤꿈치를 도톰하게 만들기 위해 흔히 쓰이는 무늬 패턴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인 무늬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뒤꿈치 콧수가 짝수인 경우
힐 플랩은 짝수인 경우가 흔합니다. 64코로 레그를 떠내려왔다면, 총 콧수의 반인 32코로 힐 플랩을 시작합니다. 안면에서 시작하는 경우를 보겠습니다.

1 단(안면): 걸러뜨기 1(실을 편물의 앞에 두고 안뜨기 하듯이 코를 넘김), 나머지 코는 안뜨기.
2 단(겉면): *걸러뜨기 1(실을 편물의 뒤에 두고 안뜨기 하듯이 코를 넘김), 겉1; *부터 ;까지를 끝까지 반복.
1-2 단을 16회 더 반복 후, 1단을 1회 더 뜬다.


영문으로 표기 시 다음과 같습니다.

Row 1 (WS) – sl1, p to end.
Row 2 (RS) – *sl1, k1; rep from*.
Rep rows 1-2 sixteen more times, then work Row 1 once more.

뒤꿈치 콧수가 홀수인 경우
디자인 등의 이유로 힐 플랩이 홀수인 경우를 보겠습니다. 겉면에서 시작하겠습니다.

1 단(겉면): 겉뜨기.
2 단(안면): 걸러뜨기 1(실을 편물의 앞에 두고 안뜨기 하듯이 코를 넘김), 나머지 코는 안뜨기.
3 단: 겉뜨기 방향으로 걸러뜨기 1(실을 편물의 뒤에 두고 겉뜨기 하듯이 코를 넘김), *겉1, 걸러뜨기 1; *부터 ;까지를 왼손 바늘에 2코가 남을 때까지 반복, 겉2.
4 단: 걸러뜨기 1, 나머지 코는 안뜨기.
5 - 34 단: 3-4 단을 15회 더 반복.


영문으로 표기 시 다음과 같습니다.

Row 1 (RS): k.
Row 2 (WS): sl1, p to end.
Row 3 (RS): sl1k, *k1, sl1*, rep *… * to last 2 sts, k2.
Row 4 (WS): sl1, p to end.
Rows 5 - 34: Rep rows 3-4 fifteen more times.

♥ 알댁 꿀 팁! ♥
발등이 높다면 도안에서 제시한 단의 반복 횟수보다 2~4 단을 더 떠보세요. 더 편하게 신으실 수 있습니다. 물론 거셋에서 조정이 필요하지만 어렵지 않습니다.


힐 턴(heel turn) - 뒤꿈치 바닥

힐 턴은 경사뜨기(short-row)기법을 이용합니다. 힐 플랩의 콧수를 3등분하여 진행하는데, 중앙의 콧수는 디자인에 따라 대략 5코 전후에서 1/3 정도까지 될 수 있습니다. 이때 주의할 점은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콧수가 같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35코를 13코, 9코, 13코로 나눴다고 가정하고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1 단(겉면): 겉뜨기 방향으로 걸러뜨기1(실을 편물의 뒤에 두고 겉뜨기하듯이 코를 넘김), 겉20, 오른코가 위에 오는 2코모아뜨기, 겉1, 편물을 도중에 뒤집어 왼손 바늘과 오른손 바늘 바꿔 잡기.
2 단(안면): 걸러뜨기1(실을 편물의 앞에 두고 안뜨기 하듯이 코를 넘김), 안8, 안뜨기로 왼코가 위에 오는 2코모아뜨기, 안1, 편물 뒤집기.
3 단: 겉 걸러뜨기1, 겉9, 오른2코모아뜨기, 겉1, 편물 뒤집기.
4 단: 걸러뜨기1, 안10, 안뜨기왼2코모아뜨기, 안1, 편물 뒤집기.
5 단: 겉 걸러뜨기1, 겉11, 오른2코모아뜨기, 겉1, 편물 뒤집기.
6 단: 걸러뜨기1, 안12, 안뜨기왼2코모아뜨기, 안1, 편물 뒤집기.
7 단: 겉 걸러뜨기1, 겉13, 오른2코모아뜨기, 겉1, 편물 뒤집기.
8 단: 걸러뜨기1, 안14, 안뜨기왼2코모아뜨기, 안1, 편물 뒤집기.


8단을 뜨면, 경사뜨기로 중앙 17코, 양쪽으로 5코가 됩니다. 이 지점에서 계속해서 위와 같은 방식으로 남은 양쪽의 5코를 경사뜨기 해주어도 됩니다. 9단부터 아래와 같이 경사뜨기를 진행할 경우 좀 더 자연스러운 곡선을 만들 수 있습니다.

9 단: 겉 걸러뜨기1, 겉9, 오른2코모아뜨기, 편물 뒤집기.
10 단: 걸러뜨기1, 안10, 안뜨기왼2코모아뜨기, 편물 뒤집기.
9-10 단을 4회 더 반복.
실을 끊는다.


총 18단을 뜨면 양쪽의 코는 모아뜨기로 쓰이고, 총 17코가 남게 됩니다.

영문으로 표기 시 다음과 같습니다.

Row 1 (RS): sl1k, k20, ssk, k1, turn.
Row 2 (WS): sl1, p8, p2tog, p1, turn.
Row 3: sl1k, k9, ssk, k1, turn.
Row 4: sl1, p10, p2tog, p1, turn.
Row 5: sl1k, k11, ssk, k1, turn.
Row 6: sl1, p12, p2tog, p1, turn
Row 7: sl1k, k13, ssk, k1, turn.
Row 8: sl1, p14, p2tog, p1, turn.
Row 9: sl1k, k15, ssk, turn.
Row 10: sl1, p15, p2tog, turn.
Rep rows 9-10 four more times. 17 sts are left.
Break yarn.

거셋(gussets)

거셋은 옷을 만들 때 움직이기 편하도록 겨드랑이 안쪽 따위에 덧대는 작은 삼각형의 천을 일컫는 말입니다. 힐 플랩의 옆면 가장자리에서 코를 주워 발등과 힐 플랩 편물을 원통으로 다시 잇고, 발바닥(sole)을 뜨는데 필요한 코만 남기고 주운 코를 다시 모아뜨기하면서 처음 잡았던 콧수와 (얼추) 같아질 때까지 코줄임을 합니다. 보통은 발 옆에서 모아뜨기해서 작은 삼각형을 찾아볼 수 있지만 이번 변형 버전에서는 발바닥에서 모아뜨기합니다. 위의 예를 이어 힐 플랩은 34단을 뜨고, 힐을 뜬 코는 17코가 남은 경우를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거셋 시작
힐 플랩 편물의 겉면이 보이도록 놓는다. 오른손 쪽 아래 끝에서 걸러뜨기한 가장자리를 따라 올라가며 17코를 겉뜨기로 줍는다 (매 걸러뜨기마다 코를 주우면 된다). 왼손 바늘에 걸린 17코를 도안대로 뜬다. 왼손 쪽 가장자리를 따라 내려가며 17코를 줍는다. 발등을 도안대로 뜬다. 단수링을 오른손 바늘에 걸어 단의 시작을 표시한다. 이 지점부터는 원통으로 뜬다.

거셋 코줄임 시작
16번째 코 다음과 35번째 코 다음에 단수링을 걸어 코줄임 하는 지점을 표시한다.
1 단(겉면): 단수링까지 겉뜨기, 단수링 넘기기, 오른 2코 모아뜨기, 두 번째 단수링으로부터 2코가 남을 때까지 겉뜨기, 왼 2코 모아뜨기, 단수링 넘기기, 나머지 코는 도안대로 단 끝까지 뜨기.
2 단(겉면): 코줄임 없이 도안의 지시대로 뜬다.
1~2 단을 7회 더 반복한다. 총 16코가 줄어든다.


거셋 코줄임이 끝나면 발등의 콧수와 얼추 같아지고, 발가락 전까지 코줄임 없이 도안의 지시대로 뜹니다.

영문으로 표기 시 다음과 같습니다.

Set up gusset
Facing RS of the heel flap, pick up and knit 17sts along the heel flap selvedge edge starting at the lower right corner(1 st from each of the 17 slipped sts). Work 17 sts. Pick up and knit 17 sts along the left edge of the heel flap. Work instep. Place the marker to show the beginning of the round.

Gusset decreases
PM after 16th st and 35th.
Rnd 1(RS): k to the first marker, SM, ssk, k until 2 sts remain before second marker, k2tog, SM. Work in pattern to BOR.
Rnd 2(RS): Work even.Rep rnd 1~2 seven more times. 16 sts decreased.

알댁 꿀 팁!
코줍기 시작과 끝에서 힐 플랩과 발등 사이에서 한 코씩을 추가로 주워 다음 단에서 코줄임을 해주면 편물을 이을 때 생기는 구멍을 막을 수 있어요~


함께 보면 좋은 글 ♥
대바늘뜨개양말 뒤꿈치(힐 플랩) 무늬 세 가지

반응형

댓글